독서

[독서] DEEP WORK

Heoky 2021. 12. 30. 23:47

2부. 딥워크를 실행하는 네 가지 규칙

 


2. 무료함을 받아들여라 - 산만함을 극복하는 훈련

여기서 말린이라는 인물의 사례를 통해 아침공부의 중요성과 집중력을 기르는 훈련의 중요성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말린이란 인물은 교회 신도로 아침 모임에 꾸준히 참석하고 있다.

말린은 고대경전을 공부하는데 있어 한계까지 이해력을 밀어붙인다. 글쓴이에게 흥미로운 부분은 지식을 얻는 데 필요한 노력이라고 한다.
그가 말하길 "아침 공부가 더 힘든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것은 말린 뿐만 아니라 공부 자체가 지닌 성격이라고 한다.

모임에서의 많은 사람들은 작은 종교학교만 다녔음에도 상당한 지적 능력을 발휘한다. 그들의 지적능력을 향상시킨 것은 아침공부였다.

말린은 얼마 후 깊은 사고를 하는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체감했다고 한다.
그의 사례를 통해 중요한 사실을 알수있다. 강한 집중력을 기르기 위해선 훈련이 필요하다.

집중의 어려움과 "정신적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선 오랜 수련이 필요하다.
산만함에 의존하는 버릇을 버리지 않으면 집중력을 기르기 어렵다. 일상 중 남는 나머지 시간에 조금만 무료해도 견디지 못하면
가장 깊은 수준의 집중에 이를 수 없다.

 


디지털 시대의 행동양상에 대한 분석

항상 멀티태스킹을 항상 하는 사람은 무의한 것을 걸러내지 못한다. 또한 작업기억을 관리하지 못하고, 고질적으로 산만하며,
당면한 과제와 무관한 훨씬 큰 두뇌 부위를 작동시킨다.

사람들은 정말로 집중해야 할 때는 날카롭게 집중한다고 한다. 그러나 날카롭게 집중하지 못한다.
날카롭게 집중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정신적습관이 길렀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잠깐이라도 모든 순간에 무료함을 느낄 때 스마트폰을 본다. 이는 "정신적으로 망가진 상태"로 두뇌가 바뀐다.
그에 따라 꾸준하게 집중할 시간을 정한다해도 딥 워크를 할 준비를 갖출 수 없다.

 


딥 워크를 통해 최대한 많은 것을 얻어내려면 훈련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토대로 전략을 제시

1. 강하게 집중하는 능력을 개선
2. 산만해지려는 욕구를 극복

다음 내용으로는 이를 위해, 방해요소를 격리하고 특수한 형태의 명상법을 습득하는 등 다양한 접근법을 다룰 것이다.

 


느낀점

개인적으로 집중할 때는 강하게 몰입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독서를 통해 잠깐이라도 무료한 순간에 SNS나 스마트폰을
종종 떠올리는 내가 생각이 났다. 물론 스스로 통제하며 억지로 안보려고 채찍질 했다.

하지만 고질적으로 산만하며 무료함을 아직은 견딜 수 없는 나를 인정하게 됐고 "정신적으로 망가진 상태"의 두뇌로 바뀐 나를 짐작할 수
있었다.

오늘 독서를 통해 아직은 딥 워크나 딥하게 공부 할 준비가 갖춰지지 않은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
이후 독서를 통해 강하게 집중하는 능력을 개선하고 산만해지려는 욕구를 극복하고자하는 목표가 생겼다.

마지막 글을 통해 잠시 생각했다. 나에게 방해요소란 무엇이며, 어떻게 격리할 수 있을까?
추후 독서를 통해 조언을 얻으며 생각하고 나에게 적용 하겠지만, 먼저는 나에게 방해요소란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하며,
왜 나에게 방해요소인지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