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https를 적용하는 이유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 통신을 주고받게 해주는 기초적인 프로토콜이다. 웹 서핑을 할 때 서버에서 사용자의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인터넷의 초기에 모든 웹사이트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었던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약자를 보면 뒤에 Secure(보안)이 붙는다. 기존의 HTTP 프로토콜은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정보가 전송될 때 정보가 암호화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정보를 쉽게 도난 당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HTTPS 프로토콜은 SSL(보안 소켓 계층)을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SSL은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안전하게 암호화된 연결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고, 서버 브라우저가 민감한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이 정보가 도난 당하는 것을 막아준다.
HHTP와 HTTPS의 차이는 "보안성"에 있는 것이다.
HHTPS 보안 외의 또 다른 장점
HTTP와 HTTPS의 또 다른 차이점으로 검색엔진 최적화(SEO)의 품질에 있다. 구글에서 HTTPS를 적용하면 가산점을 주는 점도 있고,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할 때 안전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더 많이 방문하게 된다.
HTTPS로 전환 시 고려해야 할 점
사이트가 HHTP에서 HTTPS로 전환됐음을 구글에게 알려야한다. (사이트가 HTTPS로 전환 됨을 구글은 알 수 없다)
SSL 인증하는 것에는 여러 종류의 인증서가 있다
싱글 도메인(Single Domain) 인증서: 한 개의 도메인 또는 그 서브도메인을 위해 발행 되는 것
멀티플 도메인(Multiple Domain) 인증서: 통합 커뮤니케이션(Unified Communication) 인증서라고도 불린다. 메인 도메인 이름을 비롯해서 최대 99개의 대체 도메인 이름을 보호 할 수 있게 해준다
와일드 카드(WildCard) 인증서: 웹 사이트 URL은 물론이고 서브도메인도 무제한으로 보호 할 수 있게 해준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Ubuntu에 Node 설치하기 (0) | 2022.02.18 |
---|---|
01. AWS EC2 생성하기 (0) | 2022.02.17 |
AWS/ 로그인과 게시글 업로드 관련 문제 (0) | 2021.12.18 |
aws-lambda image-resizing(node.js) (0) | 2021.12.18 |
CredentialsError: Missing credentials in config (0) |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