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명령 덩어리, 정해진 동작을 하는 것
// 함수 선언식
function sum(a, b) {
console.log(a + b);
}
sum(2, 5); // 7
function sum(a, b) {
console.log("계산 ㄱㄱ");
return a + b; // 결과값 반환
}
let result = sum(2, 5); // result = 7
console.log(result); // "계산 ㄱㄱ" => 7
조건문: 특정 조건을 부여하는 것
function isAdult(age) {
if(age > 20) {
console.log("성인 입니다.");
} else {
console.log("청소년 입니다.");
}
}
isAdult(15); // 청소년 입니다.
isAdult(20); // 청소년 입니다.
isAdult(21); // 성인 입니다.
반복문: 시작값(초기값), 조건문, 증감문
let a_list = ["사과", "배", "감", "딸기"];
// i는 0부터 시작해서 a_list의 길이보다 작을 때까지 하나씩 증가한다.
for(let i = 0; i < a_list.length; i++) {
console.log(a_list[i]); // "사과", "배", "감", "딸기"
} // i => 0, 1, 2, 3
반복문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단 세줄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for (let i = 0; i < 100; i++) {
console.log(i);
}
for (1. 시작조건; 2. 반복조건; 3. 더하기) {
4. 매번실행
}
1 -> 2체크하고 -> (괜찮으면) -> 4 -> 3
-> 2체크하고 -> (괜찮으면) -> 4 -> 3
-> 2체크하고 -> (괜찮으면) -> 4 -> 3
-> 2체크하고 -> (괜찮으면) -> 4 -> 3
와 같은 순서로 실행됩니다.
i가 증가하다가 반복조건에 맞지 않으면, 반복을 종료하고 빠져나옵니다.
반복문 예제
let people = ['철수','영희','민수','형준','기남','동희']
// 이렇게 하면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한번에 출력할 수 있겠죠?
// i가 1씩 증가하면서, people의 원소를 차례대로 불러올 수 있게 됩니다.
for (let i = 0 ; i < people.length ; i++) {
console.log(people[i])
}
let scores = [
{'name':'철수', 'score':90},
{'name':'영희', 'score':85},
{'name':'민수', 'score':70},
{'name':'형준', 'score':50},
{'name':'기남', 'score':68},
{'name':'동희', 'score':30},
]
for (let i = 0 ; i < scores.length ; i++) {
console.log(scores[i]);
}
// 이렇게 하면 리스트 내의 딕셔너리를 하나씩 출력할 수 있고,
for (let i = 0 ; i < scores.length ; i++) {
if (scores[i]['score'] < 70) {
console.log(scores[i]['name']);
}
}
// 이렇게 하면 점수가 70점 미만인 사람들의 이름만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항해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주차] [#02] 서버 - 클라이언트 통신 이해하기 (0) | 2022.10.04 |
---|---|
[2주차] [#01] jquery 기초 (0) | 2022.10.04 |
[1주차] [#04] JavaScript 조건문 예제 연습 (0) | 2022.10.02 |
[1주차] [#02] JavaScript 기초 (0) | 2022.10.02 |
[1주차] [#01] 정리 && 기록 (CSS Tip) (0) | 2022.10.02 |